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차이점과 관계


1. 기준금리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금융시장의 단기 자금 거래에 기준이 되도록 정한 금리로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주거나 예치할 때 적용하는 공식 금리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가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정기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2. 시장금리
시장금리는 은행, 기업, 개인이 실제로 금융 거래에서 주고받는 금리로 시장 참여자들의 자금 수요와 공급 그리고 기준금리, 경기 전망, 인플레이션 기대, 환율, 신용위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시장금리는 기준금리의 영향을 받긴 하지만 시장 판단에 의해 움직인다.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관계
1-1. 기준금리 인상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은행들이 한국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비용이 올라가게 된다. 그럼 시중 은행들은 그 부담을 예금과 대출 금리에 반영해 대출금리 상승과 예금금리 상승이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해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게 된다.

1-2. 기준금리 인하
한국은행이 금리를 낮추면 시중은행이 돈을 빌리는 비용이 줄어들어 대출금리가 내려가고 기업과 가계의 차입이 늘어나게 된다. 즉 시장 전반의 금리 수준도 낮아져 경기 부양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시장금리가 기준금리보다 낮게 유지되기 어려워 기준금리가 시장금리의 하한선 역할을 하고 시장금리는 앞으로의 금리 변동을 미리 예측해 움직이기 때문에 기준금리 결정 전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다.

댓글